상공회의소 한자 2급 공부 - 자손(子孫) 등



뜻이 반대이거나 상대되는 한자어 고르기


조상(祖上_ 조상 조, 윗 상) <-> 자손(子孫_ 아들 자, 손자 손)

기아(飢餓_ 주릴 기, 주릴 아) <-> 포식(飽食- 배부를 포, 밥 식)

건조(乾燥_ 마를 건, 마를 조) <-> 습윤(濕潤_ 젖을 습, 윤택할 윤)

유약(柔弱_ 부드러울 유, 약할 약) <-> 강고(强固_ 강할 강, 굳을 고)

교만(驕慢_ 교만할 교, 거만할 만) <-> 겸손(謙遜_ 겸손할 겸, 겸손할 손)




성어 완성하기 


結草報恩(결초보은_ 맺을 결, 풀 초, 갚을 보, 은혜 은)


支離滅裂(지리멸렬_ 지탱할 지, 떠날 리, 꺼질 멸, 찢을 렬) : 이리저리 흩어지고 찢겨져 갈피를 잡을 수 없음.


永久不變(영구불변_ 길 영, 오래 구, 아니 불, 변할 변)


切磋琢磨(절차탁마_ 끊을 절, 갈 차, 다듬을 탁, 갈 마)


刎頸之友(문경지우_ 목 벨 문, 목 경, 갈 지, 벗 우) : 서로를 위해 목이 떨어져도 두려워하지 않을 아주 친한 사이




다음 성어의 뜻풀이 고르기


明鏡止水(명경지수 _ 밝을 명, 거울 경, 그칠 지, 물 수) : 사념이 전혀 없는 깨끗한 마음


角者無齒(각자무치 _ 뿔 각, 놈 자, 없을 무, 이 치) : 뿔이 있는 짐승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,

한 사람이 모든 복을 겸하지는 못함.


眼高手卑(안고수비_ 눈 안, 높을 고, 손 수, 낮을 비) : 눈은 높으나 손은 낮음이란 뜻으로, 눈은 높으나 실력은 따라서 미치지 못함.


甘呑苦吐(감탄고토_ 달 감, 삼킬 탄, 쓸 고, 토할 토) :

사리의 옳고 그름을 생각하지 않고, 자기의 이해관계에 맞으면 취하고 싫으면 버림.


膠柱鼓瑟(교주고슬_ 아교 교, 기둥 주, 북 고, 큰 거문고 슬) : 비파나 거문고의 기러기발을 아교로 붙여놓으면 음조를 바꾸지 못하여 한 가지 소리밖에 내지 못하는 것처럼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전혀 없음.



다음의 뜻에 맞는 성어 고르기


아무리 바라고 기다려도 이루기 어려운 것 - 百年河淸(백년하청)

아무 것도 하는 일 없이 먹고 놀기만 함 - 無爲徒食(무위도식)

말하는 것이 전혀 이치에 맞지 않음 - 語不成說(어불성설)

세상의 변천이 매우 심함 - 桑田碧海(상전벽해)

가혹하게 세금이나 금품을 긁어모아 백성을 못 살게 함 - 苛斂誅求(가렴주구)




반응형